<제주투데이/ 박지희기자> "동물권-인권은 동의어 ... '관계'에 대한 권리 찾아야" > 언론보도/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제주투데이/ 박지희기자> "동물권-인권은 동의어 ... '관계'에 대한 권리 찾아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비건제주 (59.♡.46.233) 댓글 0건 조회 2,194회 작성일 22-09-01 08:38

본문

"동물권-인권은 동의어 ... '관계'에 대한 권리 찾아야"

10일 기후위기 제주도민연대, 동물권 전문가 포럼 개최
독립연구가 사이 "위계적 이분법으로 지워진 관계, 생명체 본질"
이지연 "인간 중심 동물해방운동 경계해야"

  • 입력 2022.08.31 17:55
  • 수정 2022.08.31 18:04
  • 댓글 1
(그래픽=동물권 독립연구가 사이)
(그래픽=동물권 독립연구가 사이)

---> 기사 원문 보기 http://www.ijeju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0360

그는 이같은 현상이 위계적 이분법에서 기인됐다고 봤다. 여기서 파생된 계급주의와 자본주의, 국가주의, 자기중심적 개인주의 등은 관계를 지운다. 이는 현대사회를 구성하는 근간으로 자리잡아 인간이라는 동물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사이씨는 "위계적 이분법은 다양성을 배제하고, 조화를 파괴한다. 자기보존을 위한 수단으로 '착취'를 이용한다"면서 "이 상황 속 비소수자 대중은 정상으로 규정돼 권력을 갖고, 정상의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이들은 존재가 지워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분리된 개체에 권리가 있다는 개념은 결국 그것을 부여하는 권력이 개체를 지배하게 만든다"면서 "동물권은 주체가 객체와 관계를 맺을 권리가 아니다. 함께 살아가는 주체로 구성된 '우리'가 갖고 있는 관계의 권리"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관계 주체성이 회복되지 않고 권리가 회복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 "관계에 대한 권리와 부조리한 관계를 해소할 권리가 바로 인권이자 동물권"이라고 강조했다.

'기후위기 대응 및 채식 활성화를 위한 제주도민연대'가 지난 10일 국가인권위원회 제주출장소에서 '동물권 전문가 포럼'을 연 가운데, 이지연 동물해방물결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기후위기 대응 및 채식 활성화를 위한 제주도민연대'가 지난 10일 국가인권위원회 제주출장소에서 '동물권 전문가 포럼'을 연 가운데, 이지연 동물해방물결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이지연 동물해방물결 대표는 이어진 토론에서 동물권 운동을 '인간들이 동물을 위한 운동'이라고 이해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간이 생태계를 관리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 안된다는 것.

그는 "인간 중심적인 쾌고감수성 관련 논의, 동물해방운동에 대해선 한계가 있다고 본다"면서 "동물을 위한다는 인간이 동물을 개체로 바라보지 않아서 모순된 행위를 하는 것을 다수 목격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특히 권력과 결정권을 가진 인간들은 여전히 생태계의 관리자 위치를 점유하려고 한다. 행정이 호랑이나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 등을 진행하려는 것도 한 사례"면서 "균형이 깨진 생태계의 모습을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 또한 인간의 욕심"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동물권을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할 수는 있지만 개인의 완결성 및 자아에 과하게 도취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위기 대응 및 채식 활성화를 위한 제주도민연대'가 지난 10일 국가인권위원회 제주출장소에서 '동물권 전문가 포럼'을 연 가운데, 김란영 ㈔생명환경권운동 제주비건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기후위기 대응 및 채식 활성화를 위한 제주도민연대'가 지난 10일 국가인권위원회 제주출장소에서 '동물권 전문가 포럼'을 연 가운데, 김란영 ㈔생명환경권운동 제주비건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김란영 ㈔생명환경권운동 제주비건 대표는 "우리는 동물의 시선에서 생각하고 있는지, 인간의 감정 중심으로 생각하는지 혼동할 때가 많다"면서 "사실 인간도 동물에 속한다. 동물을 포함한 생태계가 도구화 된 상황에서 동물 중심 환경으로 바꾸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채식급식 확대 운동'을 예로 든다면 우리는 주 1회보다 더 많은 횟수를 원하지만 실제 사회시스템에서는 용인되지 않는다"면서 "만약 강하게 피력한다면 아무것도 개선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타협할 수 밖에 없는 지점들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고한 비전을 제시해야 하는 시기"라고 강조했다.

그는 "동물권에 대해 별다른 관심이 없었던 사람들이 우리의 목소리를 듣고 현상 너머 의미를 내다봐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기사 원문 보기 http://www.ijeju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0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