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기후위기 대응, 채식급식' 제주의소리 기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비건제주 댓글 0건 조회 6,770회 작성일 22-01-15 15:25

본문

기후위기 ‘지구 살리는’ 채식... 제주 ‘채식급식’ 초읽기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 URL복사
[신년특집-채식하기 좋은 제주] (2) 학교 ‘채식급식’ 전국적 확산..제주 빠르면 올해 2~3월 근거 마련

기후 위기 대응과 채식 선택권 존중의 측면에서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채식 급식’이 제주에서도 조례 제정을 통해 올해 초 시행될 전망이다.

제주지역 14개 시민사회단체와 정당으로 구성돼 지난해 3월 출범한 ‘기후위기 대응, 제주 채식 급식 지원조례 제·개정 추진위원회’는 도의회 공개 토론회, 도교육청 간담회 등 여론 수렴 과정과 교육 프로그램 진행, 영양교사 등 관련 당사자와의 조율을 거쳐 조례 제정 초읽기에 들어갔다.

안재홍 채식급식 지원조례 제·개정 추진위원회 집행위원은 “빠르면 (올해) 2~3월에 이 조례가 아마 생겨날 거라고 생각한다. 채식의 정도가 어떻든 ‘하긴 해야 한다’는 방향에 대해서는 다들 동의하기 때문에 점진적으로 이 조례를 통해 제주의 채식 문화가 확대될 거라고 전망한다”고 밝혔다.

기후위기 대응, 채식급식 지원 조례 제·개정을 위한 추진위원회는 작년 3월 11일 제주도교육청 앞에서 출범했다. 이후 기후위기과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채식 급식 조례 제정을 목표로 정책토론회, 강연회 등 활동을 펼쳐왔다. ⓒ제주의소리

제주 채식급식 지원 조례(안)은 ‘채식 선택권의 보장’과 ‘월 1회 채식급식 제공’이 핵심이다.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한 달에 한번이라도 채식급식을 온전히 제공하고, 왜 채식을 제공하는지 제대로 교육하자는 게 조례의 기본 내용이다.

앞서 제주도교육청은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비만예방을 위해 매달 1회 이상 ‘채식의 날’을 운영해왔다.

하지만 안 위원은 “도교육청에서 월 1회 채식급식을 진행하고는 있는데, 먹는 학생들이 채식급식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살펴보니 어묵탕, 계란 등 채식이라고 하기엔 문제가 많은 식단이 보였다. 메뉴가 달라지고 그 의미에 대해 설명이 되어야하는데 지금은 그렇지 못하다”며 현행 채식급식의 문제점을 설명했다.

이어 안 위원은 참고할 만한 채식급식 사례로 대한민국 군대의 채식 식단을 꼽았다. 군 당국은 지난해 2월부터 병역판정검사 시 ‘채식주의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무슬림 병사와 채식주의자에게 비건(Vegan·동물성 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엄격한 채식) 식단을 짜서 대체식을 제공해왔다.

국방부는 지난해 2월부터 채식을 요구하는 병사에게 ‘비건(vegan, 완전채식)식단’을 제공하고 있다. 채식 식단 예시. 사진=국방부.

군대에서 소수자인 채식주의자와 무슬림을 배려하는 비건식을 매 끼니 제공하기 시작한 것은 ‘채식 선택권’ 개념을 다시금 수면 위로 끌어올린 계기가 됐다.

일부 시·도 교육청에서도 채식급식을 실시하고 있다. 전북도교육청은 2011년부터 ‘채식의 날’을 정해 현재 주 1회나 월 2회로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인천시교육청은 지난해부터 모든 초·중·고에서 월 2회 채식식단 제공 매일 별도의 채식식단 제공 기존 식단에 채소 반찬 추가 등 세 가지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해 시행하도록 했다.

울산시교육청도 지난해부터 ‘고기 없는 월요일’ 운동을 매주 운영하고 있다. 채식을 선택한 학생은 급식에 고기 제거식이나 대체음식 등을 받는다. 서울시교육청은 서울 시내 모든 학교에 한달에 두 차례 채식급식을 제공하고, 생태전환교육 중점·선도학교 23곳에서는 ‘그린바’를 설치해 채식 식단만 따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채식 선택제’를 시범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도 전국적으로 채식급식의 날과 채식 선택제를 도입하는 학교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건강문제와 기후위기를 인식하고 채식을 선택하는 청소년의 권리를 인정하고, 먹거리 생태전환교육 등 교육과정과도 연계해 채식문화를 조성하고 있다.

조례 제정의 경우, 서울은 지난해 4월 ‘서울특별시 채식 환경 조성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채식급식 시행에 근거를 두고 있다. 지난해 5월 부산에서도 학교 채식급식 활성화 등 내용을 담은 조례가 시의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채식식단 지원에 박차를 가했다.

서울의 모든 학교에서는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식습관을 실천하는 급식문화 조성을 위해 지난해 4월부터 월 2회 ‘그린급식의 날’을 운영하고 있다. 단순한 채식 위주 급식을 넘어 기후 위기와 먹거리 미래의 인식을 개선하고 이를 교육과정과 연계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해야 한다는 사실을 자연스러운 경험으로 깨닫게 하기 위해서다. 사진=서울특별시교육청.

한편 학교 현장의 조리 인력난 문제와 채식급식에 따른 영양소 부족을 우려하는 목소리에 안 위원은 “채식급식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은 지금도 조리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 인력 충원이라는 부분에 대해 좀 더 개방된 시각이 필요하다”며 “현장에서도 ‘채소만 먹어서 문제가 된 아이들은 없다. 채소를 안 먹어서 문제’라고 얘기한다. 월 1회 채식급식과 병행된 채식교육이 교육적으로 너무나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주도나 도교육청이 우선적으로 공공급식, 공공식당, 구내식당에서 채식하는 사람들을 위한 메뉴들을 필수적으로 구성해주면 채식문화 확산에 도울이 될 것 같다”며 대기업이나 관공서가 먼저 채식 선택지 개선에 앞장서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최근 제주도교육청이 발표한 2022년 제주미래교육 희망정책에 대해 “7가지 정책 중 6번째가 ‘기후위기 대응 지구 생태시민교육’인데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알기가 힘들다. 기후위기, 생태교육이 구색 맞추기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핵심 교육으로 들어갔으면 좋겠다”며 생태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윤정 기자